부모급여 지급시행
부모급여란?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영아기 집중 돌봄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한 복지 서비스입니다.
* 신청기간 : 2023년 1월 4일 수요일 09시부터 신청가능합니다.
- 방문신청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전국신청 가능)
- 온라인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
대한민국 대표 복지포털 '복지로' (bokjiro.go.kr)
tbu/app/main/Main
www.bokjiro.go.kr
- 지원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만 2세 미만의 아동에 대해 지원합니다.
구분 | 만0세(0~11개월) | 만1세(12~23개월) | 가정 양육 |
2022년(영아수당) | 월 30만원 | 월 30만원 | |
2023년(부모급여) | 월 70만원 | 월 35만원 |
- 지원방식
(만0세) 가정양육 시 현금,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와 현금 차액, 종일제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종일제 아이돌봄 정부지원금 지급
(만1세) 가정양육 시 현금,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종일제
아이돌봄 정부지원금 지급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하여 본인소득 등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청년(만19~34세)의 납입금에 정부가 매칭지원하고 이자소득 등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만 19~34세
- 총 급여 7,500만원 or 종합소득세 6,300만원 이하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인 청년
위 조건이 충족된다면 1년 840만원 한도(월 70만원)로 5년을 납부하면 정부에서 매칭지원금을 지원합니다. 이 금액은 예적금, 국내상장주식 등을 통해 운용이 되며 5년 만기를 채우고 해지시 이자, 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를 지원합니다.
* 예상 수령액
정부가 지원하는 기여금은 납입액의 최대 6%이며 5년간 최대 납입액인 월 70만원씩 납부한다는 가정하에 만기시 약 5,000만원 상당의 금액을 수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근로장려금
근로장려금이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사업자(전문직 제외) 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과 근로소득, 사업소득 or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합 부부한산 총 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지급액을 산정합니다.
<가구유형에 따른 근로장려금 지급가능액>
구분 | 단독가구 | 홑벌이가구 | 맞벌이가구 |
총소득기준금액 | 2,200만원 미만 | 3,200만원 미만 | 3,800만원 미만 |
최대지급액 | 150만원 | 260만원 | 300만원 |
<가구유형>
단독가구 : 배우자와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
홑벌이 가구 :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는 신청인 또는 배우자의 총급여액 등이 3백만원 미만이어야 함)
맞벌이 가구 : 신청인과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 등이 3백만원 이상인 가구
<신청방법>
1. 모바일 안내문을 받은 경우
카카오톡·문자메시지에 첨부된 안내문을 열람하여 ‘신청하기’ 버튼 누름 → ‘손택스 신청화면’ 연결 →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완료
2. 서면 안내문을 받은 경우
- QR코드
서면안내문의 QR코드를 스캔 → ‘손택스 신청화면’ 연결 →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완료
- 인터넷 홈택스
인터넷홈택스 접속 → 신청/제출 메뉴 또는 복지이음 배너 ‘근로·자녀장려금’ → ‘간편신청하기’를 통해 개별인증번호 입력 →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완료
- 모바일 홈택스(손택스)
앱스토어 (구글 Play 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에서 국세청 홈택스[손택스] 다운로드 설치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 ‘신청하기’를 통해 개별인증번호·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완료
- ARS (자동응답) 전화
1544-9944로 전화하여 음성안내에 따라 신청
3. 모바일 또는 서면 안내문을 받지 않은 경우
인터넷 홈택스
인터넷홈택스 접속 → 로그인 → 신청/제출 메뉴 또는 복지이음 배너 ‘근로·자녀장려금’ → ‘신청하기’ · ‘일반신청하기’
인증서 로그인으로 ‘소득자료’를 불러올 수 있음
4. 전화 신청도움
장려금 상담센터 (1566-3636)로 전화
만 65세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인상
만 65세 어르신들이 기초연금을 받으실 수 있는 선정기준액이 인상되었습니다. 아래 표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들께 드립니다.
* 부부 중 한 분만 신청하시는 경우도 부부가구에 해당됩니다.
구분 | 단독가구 | 부부가구 |
선정기준액 | 2,020,000원 | 3,232,000원 |
* 신청방법
오프라인(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or 온라인(복지로)에서 신청가능합니다.
전화 : 국민연금공단 1355
최저임금 인상
최저임금이란?
국가가 노,사간의 임금 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는 제도입니다.
2022년 대비 5.0%인상되었습니다.
구분 | 최저임금(시간당) |
2022년 | 9,160원 |
2023년 | 9,620원 |
최저임금 계산기 바로가기
최저임금 계산 – Daum 검색
Daum 검색에서 최저임금 계산에 대한 최신정보를 찾아보세요.
search.daum.net
장애인연금 및 장애수당 지원금 인상
장애인 연금과 장애수당이 인상되었습니다. 인상내역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장애수당 역시 50% 인상되어 기초수급자와 차상위 대상자들에게 월 6만원을 지원합니다.
두가지 지원사업 모두 오프라인(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or 온라인(복지로)에서 신청가능합니다.
전화문의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구분 | 장애인 연금 | 장애수당 |
2022년 | 최대 월 387,500원 | 월 4만원 |
2023년 | 최대 월 403.180원 | 월 6만원 |
온라인 복지로 바로가기(복지 서비스 신청)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tbu/app/main/Main
www.bokjiro.go.kr
알뜰교통카드 청년층 마일리지 상향지원
만 19세~34세 청년층을 대상으로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를 상향지원한다고 합니다.
알뜰교통카드란?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 상향내역
구분 | 1회 교통비 | 비고 | ||
2천원 미만 | 2천원 이상~3천원 미만 | 3천원 이상 | ||
2022년 | 250원 | 350원 | 450원 | 이동거리 최대 800m 기준 |
2023년 | 350원 | 500원 | 650원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바로가기
알뜰교통카드
출근은 편하게 ! 교통비는 가볍게!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로 더 알뜰하게 !
www.alcard.kr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계백화점 상품권 온라인 등록방법 (0) | 2023.01.09 |
---|
댓글